고시군 (니가타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시군은 니가타현에 있었던 군으로, 1879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하여 2005년 야마코시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다이호 율령 시대부터 에치고국의 중핵적인 역할을 했으며,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미쓰케시 등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1889년 정촌제 시행으로 6정 45촌이 발족하였으며, 여러 차례의 합병과 시 승격을 거쳐 2005년 폐지 당시에는 야마코시촌만 남았다.
1879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 당시의 군역은 아래 구역에 해당한다.
1879년 4월 9일 군구정촌 편제법이 니가타현에서 시행되면서 행정 구역으로서의 고시군이 발족했다.[3][4][5]
2. 지리
시 해당 지역 나가오카시 일부 (시나노강 동쪽 및 니시노·이와노·가마가시마·가와구치키자와. 오모이카와신덴, 오시키리신덴, 이케노시마, 쓰보네, 오쿠치, 시나노키, 와키카와신덴정, 나가로이 북쪽·우라·가와구치 각 정은 제외.)[3] 오지야시 일부 (우라가라·요코와타·미나미니고로·오구리야마)[4] 미쓰케시 일부 (가쓰라마키미나미정·소바쇼정 비지를 제외하고 대략 카리야타강 이남)
3. 역사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현 나가오카시 지역에 해당하는 6정 45촌이 발족했다.정촌명 비고 나가오카시|나가오카정일본어 나가오카혼정일본어 센주정 (니가타현 고시군)|센주정일본어 구소즈정일본어 아라정일본어 오우치촌 (니가타현)|오우치촌일본어 미야우치촌 (니가타현)|미야우치촌일본어 이시자카촌일본어 나카도리촌 (니가타현 고시군)|나카도리촌일본어 마에카와촌일본어 도카마치촌일본어 다카시마촌 (니가타현 고시군)|다카시마촌일본어 야마야자와촌일본어 무이카이치촌일본어 현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이시즈촌 (니가타현)|이시즈촌일본어 가와니시촌 (니가타현 고시군)|가와니시촌일본어 시카촌 (니가타현 고시군)|시카촌일본어 후쿠도촌일본어 세리카와촌일본어 가와스모모촌일본어 구로조촌일본어 시로마루촌일본어 가와사키촌 (니가타현 고시군)|가와사키촌일본어 야마도리촌 (니가타현 고시군)|야마도리촌일본어 스요시촌일본어 나카누키촌일본어 야마모토촌 (니가타현)|야마모토촌일본어 후소키촌일본어 신구미촌일본어 현 나가오카시, 미쓰케시 기타다니촌 (니가타현)|기타다니촌일본어 현 미쓰케시 가미키타다니촌일본어 현 미쓰케시, 나가오카시 도치오시|도치오정일본어 이쓰카마치촌일본어 가와타니촌일본어 요시카시촌일본어 가미시오다니촌일본어 가미시오촌일본어 마에히가시다니촌일본어 도치보리촌일본어 이리히가시다니촌일본어 니고로촌일본어 이치노카이촌일본어 니시다니촌 (니가타현)|니시다니촌일본어 나카노마타촌일본어 한조가네촌일본어 다나스하라촌일본어 요모기사와촌일본어 무시가메촌일본어 다케자와촌 (니가타현)|다케자와촌일본어 히가시타케자와촌일본어 히가시야마촌 (니가타현 고시군)|히가시야마촌일본어 현 오지야시, 나가오카시
1901년 11월 1일 나가오카정, 시로마루촌, 스요시촌, 미야우치정 (니가타현)|가미구미촌일본어, 시모카와니시촌일본어, 무이카이치촌, 도카마치촌, 시모시오다니촌일본어, 가미시오다니촌, 히가시다니촌 (니가타현)|히가시다니촌일본어, 니고로촌, 오타촌 (니가타현 고시군)|오타촌일본어 등이 통합되었다.(2정 30촌)
1906년 4월 1일 나가오카정이 나가오카시로 승격되어 군에서 이탈하고, 가와니시촌과 시카촌이 합병하여 가미카와니시촌일본어이 발족했다.(1정 29촌)
1911년 7월 1일 도치오정이 도치오시|도치오정일본어으로 개칭되었다.
1921년 12월 1일 시로마루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되었다.(1정 28촌)
1948년 5월 3일 가미구미촌이 정제 시행과 개칭으로 미야우치정 (니가타현)|미야우치정일본어이 되었고,(2정 27촌) 7월 1일 야마도리촌 일부가 미야우치정, 잔여부가 나가오카시에 분할 편입되었다.(2정 26촌)
1950년 12월 1일 스요시촌이, 1951년 1월 1일 후소키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되었다.(2정 24촌)
1951년 10월 10일 기타다니촌이 미나미칸바라군일본어 미쓰케시|미쓰케정일본어에 편입되었다.(2정 23촌)
1954년 2월 1일 가미카와니시촌이, 3월 1일 미야우치정이 나가오카시에 편입되었다.(1정 22촌) 3월 31일 가미키타다니촌 일부가 도치오정, 잔여부가 미나미칸바라군 미쓰케정에 분할 편입되었고, 미쓰케정은 당일 시제 시행으로 미쓰케시일본어가 되었다.(1정 21촌) 6월 1일 도치오정이 시모시오다니촌, 가미시오다니촌, 히가시다니촌, 니고로촌을 편입하고 시제 시행으로 도치오시일본어가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17촌) 11월 1일 도카마치촌, 야마모토촌, 구로조촌, 신구미촌[50], 후쿠도촌, 시모카와니시촌이 나가오카시에, 무이카이치촌과 히가시야마촌 일부가 오지야시에 분할 편입되었다.(9촌)
1955년 3월 31일 이리히가시다니촌, 니시다니촌이 도치오시에 편입되었고, 이시즈촌이 산토군일본어 고시지정 (니가타현)|고시지정일본어이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6촌)
1956년 3월 31일 다나스하라촌, 오타촌, 다케자와촌, 히가시타케자와촌이 합병하여 야마코시촌일본어이 발족하였다.(3촌) 9월 1일 야마코시촌 일부가 나가오카시에 편입되었고,[51] 9월 30일 나카노마타촌, 한조가네촌이 도치오시에 편입되었으며,(1촌) 10월 1일 야마코시촌 일부가 기타우오누마군 히로카미촌일본어에 편입되었다.
2005년 4월 1일 야마코시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되면서 고시군은 폐지되었다.
3. 1. 고대-근대
다이호 율령 시대부터 '고시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대일본 지명 사전』에 따르면 고시군은 에치고국의 7개 군 중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1] 초기에는 엣추국에 속했으며, 시나노강 우안 일대를 가리켰고,[1] 가리와군, 미시마군 지역도 포함한 광대한 군이었다. 다이호 2년(702년)에 에치고국으로 편입되었다. 헤이안 시대에 미시마군(미시마군, 현: 가리와군)을 분리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미시마군(산토군)을 분리했다.
『엔기시키』신명장에 기록된 군 내의 시키나이샤는 다음과 같다.
'''고시군 6좌''' (병소)
우나구시 신사(うなぐしじんじゃ)에 대해서는 엔기시키 신명장 에치고노쿠니의 고시군에 기록되어 있지만, 오니후 신사(をにふじんじゃ)로 할 것인지 설이 갈리고 있다. 오니후 신사도 논사라고 하는 설도 있다.신명장 비정사 집성 사명 요미 격 부기 사명 소재지 비고 고시군 6좌(병소) 미야케 신사 2좌 미야케노 소 rowspan=3| (논) 미야케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묘켄정 (논) 미야케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나카가타정 (논) 미야케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무이카이치정 기리하라 이시베 신사 키리하라노 소 rowspan=2| (논) 기리하라 이시베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가미기리 시데노키 (논) 기리하라 이시베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데라토마리 시모기리 쓰노 신사 쓰노 소 쓰노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요이타마치 요이타 오니후 신사 오니후 소 rowspan=2| 오니후 신사 니가타현 미쓰케시 아쓰타마치 자 미야노우라 (논) 우나구시 신사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시마자키 우나구시 신사 우나쿠시노 소
3. 2. 근대 (1879년-2005년)
1879년일본어 4월 9일 - 군구정촌 편제법이 니가타현에서 시행되면서, 행정 구역으로서의 '''고시군'''이 발족.[3][4][5]
1889년 4월 1일일본어 - 정촌제 시행으로 아래의 정촌이 발족. 따로 적은 경우 외는 현 나가오카시.(6정 45촌)
정촌명 | 비고 |
---|---|
나가오카정(長岡町)일본어 | |
나가오카혼정(長岡本町)일본어 | |
센주정(千手町)일본어 | |
구소즈정(草生津町)일본어 | |
아라정(新町)일본어 | |
오우치촌(王内村)일본어 | |
미야우치촌(宮内村)일본어 | |
이시자카촌(石坂村)일본어 | |
나카도리촌(中通村)일본어 | |
마에카와촌(前川村)일본어 | |
도카마치촌(十日町村)일본어 | |
다카시마촌(高島村)일본어 | |
야마야자와촌(山谷沢村)일본어 | |
무이카이치촌(六日市村)일본어 | 현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
이시즈촌(石津村)일본어 | |
가와니시촌(川西村)일본어 | |
시카촌(四箇村)일본어 | |
후쿠도촌(福戸村)일본어 | |
세리카와촌(芹川村)일본어 | |
가와스모모촌(川李村)일본어 | |
구로조촌(黒条村)일본어 | |
시로마루촌(四郎丸村)일본어 | |
가와사키촌(川崎村)일본어 | |
야마도리촌(山通村)일본어 | |
스요시촌(栖吉村)일본어 | |
나카누키촌(中貫村)일본어 | |
야마모토촌(山本村)일본어 | |
후소키촌(富曽亀村)일본어 | |
신구미촌(新組村)일본어 | 현 나가오카시, 미쓰케시 |
기타다니촌(北谷村)일본어 | 현 미쓰케시 |
가미키타다니촌(上北谷村)일본어 | 현 미쓰케시, 나가오카시 |
도치오정(橡尾町)일본어 | |
이쓰카마치촌(五日町村)일본어 | |
가와타니촌(川谷村)일본어 | |
요시카시촌(吉樫村)일본어 | |
가미시오다니촌(上塩谷村)일본어 | |
가미시오촌(上塩村)일본어 | |
마에히가시다니촌(前東谷村)일본어 | |
도치보리촌(橡堀村)일본어 | |
이리히가시다니촌(入東谷村)일본어 | |
니고로촌(荷頃村)일본어 | |
이치노카이촌(一之貝村)일본어 | |
니시다니촌(西谷村)일본어 | |
나카노마타촌(中野俣村)일본어 | |
한조가네촌(半蔵金村)일본어 | |
다나스하라촌(種苧原村)일본어 | |
요모기사와촌(蓬沢村)일본어 | |
무시가메촌(虫亀村)일본어 | |
다케자와촌(竹沢村)일본어 | |
히가시타케자와촌(東竹沢村)일본어 | |
히가시야마촌(東山村)일본어 | 현 오지야시, 나가오카시 |
일부는 산토군 나카노시마촌일본어, 히고시촌일본어, 오지가와촌일본어 소속이 되었다.
1901년 11월 1일일본어 - 아래의 정촌 통합이 이루어졌다. 모두 신설합병.(2정 30촌)
구 정촌 | 신 정촌 |
---|---|
나가오카혼정, 나가오카정, 센주정, 구소즈정, 아라정, 오우치촌 | 나가오카정 |
시로마루촌, 가와사키촌 | 시로마루촌 |
스요시촌, 나카누키촌 | 스요시촌 |
이시자카촌, 나카도리촌, 미야우치촌, 마에카와촌 | 가미구미촌(上組村)일본어 |
세리카와촌, 가와스모모촌 | 시모카와니시촌(下川西村)일본어 |
무이카이치촌, 야마야자와촌 | 무이카이치촌 |
도카마치촌, 다카시마촌 | 도카마치촌 |
이쓰카마치촌, 가와타니촌, 요시카시촌 | 시모시오다니촌(下塩谷村)일본어 |
가미시오다니촌, 가미시오촌 | 가미시오다니촌 |
마에히가시다니촌, 도치보리촌 | 히가시다니촌(東谷村)일본어 |
니고로촌, 이치노카이촌 | 니고로촌 |
요모기사와촌, 무시가메촌 | 오타촌(太田村)일본어 |
1906년 4월 1일일본어
1911년 7월 1일일본어 - 도치오정이 개칭하여 '''도치오정(栃尾町)일본어'''이 됨.
1921년 12월 1일일본어 - 시로마루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1정 28촌)
1948년일본어
- 5월 3일일본어 - 가미구미촌이 정제 시행과 개칭으로 '''미야우치정(宮内町)일본어'''이 됨.(2정 27촌)
- 7월 1일 - 야마도리촌의 일부가 미야우치정, 잔여부가 나가오카시에 분할편입.(2정 26촌)
1950년 12월 1일일본어 - 스요시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2정 25촌)
1951년일본어
1954년일본어
- 2월 1일일본어 - 가미카와니시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2정 22촌)
- 3월 1일일본어 - 미야우치정이 나가오카시에 편입.(1정 22촌)
- 3월 31일 - 가미키타다니촌의 일부가 도치오정, 잔여부가 미나미칸바라군 미쓰케정에 분할편입. 미쓰케정은 당일 시제 시행으로 미쓰케시일본어가 됨.(1정 21촌)
- 6월 1일일본어 - 도치오정이 시모시오다니촌·가미시오다니촌·히가시다니촌·니고로촌을 편입하고, 시제 시행으로 '''도치오시(栃尾市)일본어'''가 되어, 군에서 이탈.(17촌)
- 11월 1일일본어(9촌)
- * 도카마치촌·야마모토촌·구로조촌·신구미촌[50]·후쿠도촌·시모카와니시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
- * 무이카이치촌의 일부가 오지야시일본어, 잔여부가 나가오카시에 분할편입.
- * 히가시야마촌의 일부가 오지야시, 잔여부가 기타우오누마군일본어 가와구치정일본어에 분할편입.
1955년일본어
- 3월 31일(6촌)
- * 이리히가시다니촌·니시다니촌이 도치오시에 편입.
- * 이시즈촌이 산토군일본어 라이코지촌일본어·이와쓰카촌일본어·쓰카야마촌일본어과 합병하여 산토군 고시지정일본어이 발족, 군에서 이탈.
1956년일본어
- 3월 31일 - 다나스하라촌·오타촌·다케자와촌·히가시타케자와촌이 합병하여, '''야마코시촌(山古志村)일본어'''이 발족.(3촌)
- 9월 1일일본어 - 야마코시촌의 일부가 나가오카시에 편입.[51]
- 9월 30일일본어 - 나카노마타촌·한조가네촌이 도치오시에 편입.(1촌)
- 10월 1일일본어 - 야마코시촌의 일부가 기타우오누마군 히로카미촌일본어에 편입.
2005년 4월 1일일본어 - 야마코시촌이 나가오카시에 편입. 이날 고시군은 폐지됨.
3. 3. 현대 (2005년 이후)
2005년 4월 1일 - 야마코시촌(야마코시)과 오구니정(오구니, 카리와군), 나카노시마정(나카노시마, 미나미칸바라군), 코시지정(코시지) 및 미시마정(미시마, 산토군)이 나가오카시에 합병되었다.[1][2] 이에 따라 고시군은 소멸되었다.4. 소멸 당시의 자치체
참조
[1]
서적
住民基本台帳人口移動報告年報
https://books.google[...]
総務庁統計局
2005
[2]
웹사이트
越路町と長岡市との合併 {{!}} 長岡市よくある質問(Q&A)
https://qa.city.naga[...]
2024-02-04
[3]
문서
西野は[[1889年]]に[[三島郡 (新潟県)|三島郡]]に、岩野・釜ヶ島は[[1955年]]に三島郡に、川口木沢は[[1954年]]に[[北魚沼郡]]に編入。
[4]
문서
塩谷を[[1889年]]に北魚沼郡から編入。
[5]
문서
領主から[[年貢]]免除の特権を与えられた土地。
[6]
문서
長岡城下各町の総称。「旧高旧領取調帳」には記載なし。本項では便宜的に1町として数える。
[7]
문서
泉村、正倉村に分かれて記載。
[8]
문서
記載は栃堀村。
[9]
문서
記載は柳島村外新田。
[10]
문서
記載は滝ノ口村。
[11]
문서
記載は葵谷村。
[12]
문서
記載は二ツ郷・屋外新田。
[13]
문서
記載は島田八兵衛外新田。
[14]
문서
記載は五郎右衛門新田。
[15]
문서
記載は山崎村古新田。
[16]
문서
記載は池ノ内村。
[17]
문서
記載は明戸島村古新田。
[18]
문서
記載は河野原村古新田。
[19]
문서
記載は小貫忠左衛門組。
[20]
문서
記載は栃久保村。
[21]
문서
記載は小曾根村。
[22]
문서
記載は岩淵新田。
[23]
문서
記載は下新町村。
[24]
문서
記載は竹花村。
[25]
문서
記載は山沢古新田。
[26]
문서
記載は中沢戸左衛門組。
[27]
문서
記載は青木村/高畑村。
[28]
문서
記載は青木角右衛門高畑古新田。
[29]
문서
記載は土合与惣兵衛新田。
[30]
문서
「旧高旧領取調帳」には記載なし。
[31]
문서
記載は平島村古新田。
[32]
문서
[[三島郡 (新潟県)|三島郡]]として記載。
[33]
문서
寺社領は摂対屋村と記載。
[34]
문서
記載は高瀬村作十郎古新田。
[35]
문서
記載は三郷屋村。
[36]
문서
記載は槙山所右衛門五兵衛組。
[37]
문서
記載は槙山村助三郎古新田。
[38]
문서
記載は宮関村古新田。
[39]
문서
記載は荻野村古新田。
[40]
문서
記載は藤沢村古新田。
[41]
문서
記載は花井村古新田。
[42]
문서
記載は河袋村。
[43]
문서
記載は川久保新田。
[44]
문서
記載は川辺村古新田。
[45]
문서
三島郡向岩村として記載されているとみられる。
[46]
문서
長岡表一ノ町、長岡表二ノ町、長岡表三ノ町、長岡表四ノ町、長岡表五ノ町、長岡柳原町、長岡裏一ノ町、長岡裏二ノ町、長岡裏三ノ町、長岡裏四ノ町、長岡呉服町、長岡関東町、長岡神田一ノ町、長岡神田二ノ町、長岡神田三ノ町、長岡渡里町、長岡船江町、長岡坂下町、長岡上田町、長岡大工町、長岡山本町。
[47]
문서
長岡坂之上町、長岡観光院町、長岡玉蔵院町、長岡殿町、長岡弓町、長岡台所町、長岡今朝白町、長岡袋町、長岡稽古町、長岡長町、長岡西神田町、長岡間ノ道町、長岡千手町、長岡荒屋敷町、長岡中千手町、長岡東神田町、長岡南千手町、長岡長柄町。
[48]
문서
漆山・下新町は1955年11月1日に長岡市から見附市に編入。
[49]
웹사이트
山古志村の歩みと性格
https://www.city.nag[...]
2021-02-17
[50]
문서
일부가 1955년 11월 1일, 나가오카시에서 미쓰케시에 편입.
[51]
웹인용
山古志村の歩みと性格
https://www.city.nag[...]
2021-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